최종편집: 2023-11-30 16:21

  • 맑음속초1.3℃
  • 맑음-1.3℃
  • 맑음철원-3.1℃
  • 맑음동두천-1.2℃
  • 맑음파주-2.0℃
  • 맑음대관령-6.5℃
  • 맑음춘천-0.8℃
  • 눈백령도-0.7℃
  • 맑음북강릉2.6℃
  • 맑음강릉2.6℃
  • 맑음동해3.4℃
  • 맑음서울-0.8℃
  • 맑음인천-1.8℃
  • 맑음원주0.1℃
  • 구름많음울릉도1.9℃
  • 맑음수원-0.5℃
  • 맑음영월-0.8℃
  • 맑음충주0.0℃
  • 구름많음서산0.0℃
  • 맑음울진3.8℃
  • 맑음청주1.0℃
  • 구름조금대전0.9℃
  • 맑음추풍령-0.7℃
  • 맑음안동0.2℃
  • 맑음상주0.5℃
  • 맑음포항3.7℃
  • 구름많음군산1.4℃
  • 맑음대구2.7℃
  • 구름많음전주1.4℃
  • 맑음울산3.8℃
  • 구름조금창원3.3℃
  • 흐림광주2.4℃
  • 구름많음부산4.8℃
  • 구름많음통영6.0℃
  • 흐림목포2.4℃
  • 구름많음여수3.3℃
  • 비흑산도3.8℃
  • 구름많음완도4.4℃
  • 흐림고창0.8℃
  • 구름많음순천0.9℃
  • 구름많음홍성(예)0.2℃
  • 구름조금0.0℃
  • 흐림제주6.4℃
  • 흐림고산5.5℃
  • 흐림성산5.5℃
  • 흐림서귀포7.4℃
  • 구름많음진주4.8℃
  • 맑음강화-1.8℃
  • 맑음양평0.1℃
  • 맑음이천0.4℃
  • 맑음인제-1.2℃
  • 맑음홍천-1.0℃
  • 맑음태백-4.0℃
  • 맑음정선군-2.6℃
  • 맑음제천-1.6℃
  • 맑음보은0.0℃
  • 맑음천안-0.4℃
  • 흐림보령1.0℃
  • 구름많음부여1.4℃
  • 맑음금산0.5℃
  • 구름많음0.7℃
  • 흐림부안2.1℃
  • 구름많음임실0.2℃
  • 흐림정읍1.1℃
  • 구름조금남원1.0℃
  • 맑음장수-0.8℃
  • 흐림고창군1.1℃
  • 흐림영광군1.5℃
  • 맑음김해시4.7℃
  • 구름많음순창군0.8℃
  • 구름조금북창원4.4℃
  • 맑음양산시5.0℃
  • 구름많음보성군3.8℃
  • 구름많음강진군3.6℃
  • 구름많음장흥3.4℃
  • 흐림해남3.7℃
  • 구름많음고흥4.9℃
  • 맑음의령군4.5℃
  • 맑음함양군2.3℃
  • 구름많음광양시2.8℃
  • 흐림진도군2.5℃
  • 맑음봉화0.2℃
  • 맑음영주-1.3℃
  • 맑음문경-0.3℃
  • 맑음청송군-0.2℃
  • 맑음영덕1.7℃
  • 맑음의성1.6℃
  • 맑음구미1.6℃
  • 맑음영천1.4℃
  • 맑음경주시3.2℃
  • 맑음거창1.7℃
  • 맑음합천5.1℃
  • 맑음밀양3.9℃
  • 맑음산청2.1℃
  • 구름많음거제4.8℃
  • 구름많음남해4.4℃
  • 맑음5.0℃
기상청 제공
시사픽 로고
[르포] 세종시 훈훈한 세밑 “공양 먼저 하세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 · 특집

[르포] 세종시 훈훈한 세밑 “공양 먼저 하세요”

보림사서 첫 제야의 종 행사와 함께 시민들과 떡국 나눠

[시사픽] 2023년 계묘년을 맞는 첫날 세종시 연서면 소재 보림사에서는 세종에서는 처음으로 제야의 종 타종행사가 열렸다.

 

세종에서 첫 제야의 종 타종이라는 기대감에 행사 6시간여 앞서 보림사를 향했다. 사찰에서의 행사라는 기대도 한몫했다. 6시를 조금 넘긴 시간에 도착했다.

 

보림사는 나지막한 산자락 아래 포근하니 들어앉은 도량이었다.

 

사찰에 들어서며 가장 먼저 만난 이가 "공양 안하셨으면 공양부터 하세요”라고 인사를 건넨다. 보편적으로 "어디서(어떻게) 오셨어요?”라는 말을 가장 많이 건네는 첫 인사말인 것으로만 여겼었는데 신선한 충격이었다. 사찰이라는 도량을 접한 경험도 크지 않은 탓이기도 하려니와 저녁시간이려니 생각하며 마당 안으로 들어섰다.


마당에는 손님 맞을 준비로 바쁜 걸음들이 오가고 있었다, 무대 준비를 위한 걸음, 추위를 녹여 줄 난로불 점검에 따끈한 커피물 준비, 안전한 행사를 위한 동선 준비, 일일이 시민들이 자리할 의자를 닦는 등등으로 각자 바쁘게 움직이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서도 너나없이 어디서 왔느냐고 묻는 이는 없고 "공양 하세요”라고 한다.

 

공양간 문을 열고 깔끔하고 널찍한 방에 들어섰지만 상이 차려져 있거나 식사 중인 사람은 없었다. "밥 먹을 수 있어요?”라고 조심스럽게 물었더니 "네, 드세요”라고 한다.

 

잘 지어진 찰진 밥과 뜨끈한 미역국이 차려졌다. 동치미에 총각김치, 무생채·시금치무침, 된장 등 맛깔나고 정갈한 음식들이 놓였다. 단 숨에 밥 한 공기를 게눈 감추듯 먹었다. 설거지마저 끝낸 시간에 밥을 찾는 나그네가 반가울리 없을 것이건만 오히려 얼마 남지 않은 반찬에 미안해하며 편히 식사 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밥을 먹다가 문뜩 주방 싱크대에 붙여놓은 메모지가 눈에 들어왔다. 고구마는 몇 시에 찌고, 어묵국은 몇 시에 안치고, 육수는 몇 시에 준비하고 커피물은 어떻게, 찐빵은, 가래떡은... 등등.

 

넉넉한 나눔을 위한 일정이었다. "준비하시느라 힘 드시죠? 어디서 왔냐고 묻기 전에 공양부터 하세요라고 하더라. 놀랐다”라고 했더니 "절집은 공양이 후하지요. 동짓날에도 팥죽을 쑤어서 나눴어요, 이번 행사에 일주일은 준비한 것 같아요”라며 더 먹을 것을 권한다.

 

타종 행사후 참여한 시민들과 함께 떡국을 권하며 서로에게 덕담을 나누는 넉넉함이 묻어난다.

 

계묘년은 훈훈한 세종시에서 느끼는 인정 덕에 복과 행운이 넘칠 것 같다.

 

시퀀스 01.00_04_24_28.스틸 006.jpg

 

관련기사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